안녕하십니까. 딴지일보 기획취재부 팀장을 맡고 있는 김창규(죽지 않는 돌고래)라고 합니다. CCL에 대해선 예전에 해적당 아멜리아 인터뷰와 고려대 김기창 교수님을 통해서 좋은 뜻을 알게 되었는데요.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이번에 인터넷을 잘 활용하는 비영리단체를 주제로 대학원에서 연구 중, 크레이티브 커먼즈 코리아가 떠올라서 이렇게 연락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메일을 보내고 싶었는데 어디로 보내야 될지 몰라서요;;;;
시간이 괜찮으시다면 아래의 질문에 답을 해 주실 수 있으실런지요. 지금 것은 초안이구요, 시간이 허락하시는 한 서면 인터뷰를 주고 받으며 CCL의 긍정적이고 좋은 뜻을 알리기 위해서도 노력해 보고 싶습니다.
좀 더 여건이 된다면 언젠가 깊이 취재를 해보구 싶구요. 그럼 질문입니다.
1) CC KOREA의 비전과 사명은 무엇인지요? CC KOREA가 생각하는 자신의 최고 장점, 단점을 2가지씩 뽑자면요?
3) CC KOREA가 현재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일 3가지를 꼽자면요?
4) 2011년 4월 21일 현재(홈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만 혹시 몇 달 사이에 변했을 수도 있어 확인차 다시 질문 드립니다.), CC KOREA의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 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상근은 몇 명이며 어떻게 활동을 나누고 있는지, 비상근은 어떤 조직도를 가지고 있는지, 온라인 회원은 몇 명인지 궁금합니다.
5) CC KOREA 운영에 드는 비용은 어떤 식으로 충당하는지요? 홈페이지에 2009년도 결산 자료를 보면 단체의 크기에 비해 각 단체로부터의 후원금이나 연구비등이 큰 듯한데 이런 후원을 얻는 노하우는 무엇인가요? 또 가장 많이 돈이 드는 분야는 어디인지요?
6) 제가 보길에 CC KOREA의 경우 소수정예라는 느낌이 듭니다만 이런 운영을 염두해 둔 것이 맞는 건가요? 1달 신규가입자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인지 아니면 정체기인지도 궁금합니다.
7) 개인적으로 인터넷을 아주 잘 활용하는 비영리단체라고 생각합니다. 눈에 띄게 CCL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었으니까요. CC KOREA의 인터넷 경영 철학은 무엇이며 인터넷 경영은 어떻게 이루어 지고 있나요? 어떤 전략을 거쳐서 이런 성과를 이루어 냈는지 궁금합니다.
8) 회원들의 충성도랄까, CCL을 사용하는 분들의 충성도가 매우 높습니다. 보통 어떤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적용하면 금방 포기하는데 CCL을 한번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계속해서 이를 자신의 블로그나 까페에 적용하는 듯합니다. 이 이유는 무엇이라 보시는지요?
9) CCL의 사용 비중은 과거에 비해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인지 정체기인지 알고 싶습니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1) CC KOREA의 가장 큰 라이벌은 어디인가요? 그리고 CC KOREA만큼 인터넷 활용을 잘하고 있는 단체를 꼽자면?
12) 현재까지 CC KOREA가 인터넷을 활용하여 이루어낸 성과 중 가장 성공적이라고 생각하는 몇가지를 뽑자면 무엇이 있을까요?
13) 거꾸로 CC KOREA를 운영하며 가장 아쉬웠던 점과 이 점에 대해서는 우리가 미숙했다는 개인적인 반성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을 활용한 경영의 어려운 점 또한 알고 싶습니다.
15) 비영리 단체활동을 막 시작하려는 다른 단체에게 CC KOREA만의 인터넷 경영, 활용 노하우로 충고를 해주자면요?
이상입니다. 바쁘신데도 불구하고 시간 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참고로 제 메일은 TOKYO119@NAVER.COM 입니다.
질문을 여러군데 올리셔서, http://vc.cckorea.org/boards/24/posts/9902 에 답변 올렸습니다.